상단영역

본문영역

  • 기자명 권상집 칼럼니스트
  • 칼럼
  • 입력 2024.01.30 18:25

[권상집 칼럼] 회당 출연료 10억원의 불편한 진실

도미노처럼 확산되는 출연료 인상이 부른 외부효과

송중기 ⓒ스타데일리뉴스
송중기 ⓒ스타데일리뉴스

[스타데일리뉴스=권상집 칼럼니스트] S급이 아닌 A급 배우의 드라마 회당 출연료도 이미 회당 1~2억원을 넘은 지 오래다. 지상파 드라마에 출연할 때마다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배우 남궁민은 MBC <연인>으로 회당 2억원의 출연료를 받았고 JTBC <재벌집 막내아들>로 한 동안 신드롬을 일으킨 배우 송중기는 회당 3억원 이상을 받았다. 그리고 이 둘은 자신의 몸값을 결과로 증명했다.

문제는 남궁민, 송중기처럼 드라마의 열풍을 이끌지 않은 배우들도 회당 2억~3억원을 우습게 여긴다는 사실이다. 드라마 출연료 인플레이션은 넷플릭스의 등장에 기인한다. 넷플릭스는 국내 지상파, CJ ENM 등 경쟁사 대비 압도적으로 높은 출연료와 제작비를 보장한다. 드라마를 떠나 영화배우로 입지를 굳힌 배우들이 드라마로 회귀하는 이유다.

남궁민 ⓒ스타데일리뉴스
남궁민 ⓒ스타데일리뉴스

그 중심엔 넷플릭스의 <오징어게임>이 있다. <오징어게임>은 국내뿐 아니라 아시아, 미국, 유럽, 남미 등 세계적인 열풍을 낳았고 시즌2의 주연배우 이정재는 그 공헌도에 힘입어 회당 출연료 10억원을 보장받았다. 이정재 등의 S급 배우가 회당 10억원 출연료를 보장받다 보니 A급 배우는 5억, B급 배우도 억대를 받아야 한다며 으름장을 놓는다.

이정재 ⓒ스타데일리뉴스
이정재 ⓒ스타데일리뉴스

그러나 회당 출연료 인상은 극소수 특정 배우에게만 혜택이 될 뿐 드라마 전체 품질을 떨어뜨리는 부정적 외부효과를 창출한다. 외부효과란 어떤 경제주체의 행위가 다른 경제주체에게 기대되지 않았던 혜택이나 손해를 발생시키는 효과를 의미한다. 특정 배우의 10억 출연료는 드라마 스텝, 조연 배우, 그리고 시청자에게 부정적 효과만 제공한다.

먼저, 시청자에게 미친 부정적 효과를 살펴보자. 골든타임이라고 불렸던 평일 저녁 8시~11시를 독차지하던 드라마가 사라지고 있다. 지상파 3사와 JTBC, tvN에서 수목드라마는 완전히 사라졌다. 2023년 발표된 ‘연기자 임금 보고서’에 의하면 톱스타의 회당 출연료는 2억~10억원 사이로 나타났다. 제작비 인상은 드라마 제작을 오히려 축소한다.

톱스타의 출연료는 드라마 스텝과 조연배우에게도 심각한 부정적 외부효과를 제공한다. 급격히 인상하는 톱스타의 출연료를 감당하기 위해 드라마 스텝은 열정페이에 시달려야 하고 조연배우는 출연료 미지급의 일상화를 겪는다. 드라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헌신하는 스텝과 조연배우가 정당한 대가를 받지 못하는 악순환이 지금도 반복된다.

그 결과, 시청자는 점점 더 드라마를 외면하고 있다. 과거, 시청률 20%를 기록하면 부진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이제는 시청률 10%면 지상파에서 성공, 20%면 대박이라고 얘기한다. 단순히 채널의 증가 때문만은 아니다. 톱스타의 출연료를 감당하기 위해 무리하게 PPL이 등장하고 드라마 품질이 떨어지기에 시청자는 오늘도 드라마를 외면한다.

국내 드라마의 회당 제작비는 12억~15억원 수준이고 상당한 투자를 받고 진행하는 드라마의 회당 제작비도 25억원 내외다. 결국, 톱스타의 회당 출연료가 10억원이 넘어가면 다른 배우 그리고 스텝진은 헌신한 대가를 지급받지 못한다. 승자독식구조가 일상화된 대표적 영역이 방송계지만 지금은 정도를 넘었어도 너무 넘었다. 비상식의 일상화다.

2021년 쿠팡플레이의 8부작 드라마 <어느날>에서 배우 김수현은 회당 5억원의 출연료를 받았다. 해당 드라마의 제작비는 12억 5천만원. 그러나 <어느날>은 큰 반응을 얻지 못하고 종영되었다. 특정 배우가 나왔다고 시청률이 보장받는 시대는 지났다. 배우 김수현의 역량은 뛰어날 수 있어도 그가 출연했다는 것 하나로 시청률이 보장되진 않는다.

<서울의 봄>이 1300만 관객을 돌파하자 일부 전문가는 황정민, 정우성의 S급 연기 때문이라고 평가한다. 그러나 관객은 특정 배우를 보기 위해 영화관에 간 것이 아니라 완성도와 몰입도 높은 스토리때문에 영화관에 들려 <서울의 봄>에 찬사를 보냈다. 특정 배우에게 올인하기보다 극의 완성도와 헌신하는 이들에게 관심을 기울이는게 중요하다.

S급 배우도  소중하지만 수많은 배우와 스텝의 열정도 우리에겐 너무나 소중하다.

- 권상집 한성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

모바일에서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