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기자명 서문원 기자
  • 생활
  • 입력 2014.01.06 21:29

이케아ㆍ신세계 유통업 진출, 긍정적으로 봐야

침체된 경기 활성화 차원에서 경쟁 불가피

[스타데일리뉴스=서문원 기자] 십 수년전 유럽에서 온 신부님이 사석에서 이런 말을 건낸 적이 있다. "유럽 사회주의는 흔히 구소련, 쿠바처럼 이념을 바탕으로한 정치체제가 아니라, 가진 자와 못가진 자 간의 합의"라고 말했다.

이어 "진정어린 합의를 바탕으로 '자본주의'라는 줄기와 '경쟁'이라는 잔가지가 올라와야 나라가 안정되어 올라간다"라고 부연했다. 그리고 "자본주의를 부정하는 행위는 어불성설"이라고 덧붙이며, "서로가 합의를 도출하는 모습이 익숙치 않아서 충돌하는 것 같다"라며 자신의 소신을 말했다.

이케아·신세계 유통진출, 시장활성화 위한 촉매제

최근 두 개의 이슈가 경제유통산업 전반에 걸쳐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첫 째는 세계적인 조립가구기업 '이케아'(IKEA, 스웨덴)의 국내시장 진출을 앞두고, 비난이 일고 있다. 정확한 시장 정보를 바탕으로한, 보도는 뒤로하고 국내가구시장의 포화상태와 지난 해 중고가구시장의 퇴조를 들어, '무조건 막아야한다'는 목소리가 자주 들린다. 

두 번째는 신세계그룹의 편의점사업 진출을 놓고, 롯데·보광그룹이 각 각 '세븐일레븐'과 'CU'라는 상호로 운영중인 편의점시장을 독식한 가운데 신세계의 편의점 진출이 못마땅하다는 보도가 줄을 잇고 있다. 지난 해까지 편의점 본사와 편의점 가맹주간의 불공정 계약으로 파산자는 물론 자살자가 속출하는 상황을 보태며, 대기업 유통독식을 비난하고 있다. 

그렇다면 위 사안들에 따른 비난 등은 과연 맞는 말일까?

▲ 2014년 국내가구시장 진출을 노리는 스웨덴의 조립가구기업 이케아(IKEA) 카탈로그 사진. 실제 모습은 사진과 달리 평범한 조립가구들이다. 그럼에도 해외에서 각광 받게된 원인으로는 1인 혹은 2인 가구에 맞춘 제품출시와 저가판매 때문이다. (출처 IKEA)

이케아 국내시장진출, 침체된 가구업계 활성화에 도움

우선 이케아의 국내조립가구시장 진출은 경기도 광명점과 오는 2017년 '서울 강동구 고덕동점 준비중'이라는 내용이 전부다. '과연 국내소비자들이 조립가구에 익숙한지?'같은 의문마저 든다.

또한 경기불황으로 침체된 가구시장에 조립가구 열풍이 불면, 국내 가구업계에는 어떤 효과가 발생하는지에 대한 분석도 없다. 그냥 "이케아 같은 대형가구점이 진출하면 중소가구점이 고사된다"라는 말이 전부다.

하지만 최근까지 경기불황으로 핵가족화·고령화·이혼율 급증에 따라, 공간 및 비용절감을 앞세운 원룸과 투룸형태의 부동산증가도 부쩍 늘어난 추세다. 일례로 지난 해 이마트 가구점 판매 수치(11월 동향)를 보면, 고가 가구 매출은 9.9% 줄고, 소형가구와 수납가구는 각각 38.6%, 20.6% 증가했다고 밝힌 바 있다. 

결국 스웨덴 조립가구기업 이케아의 국내 시장 진출은 소비자들이 아직 덜 익숙한 조립가구에 대한 관심과 열풍, 그리고 침체된 가구시장에 활력소로 바라봐야 한다. 해외 조립가구업체의 국내진출을 무조건 반대만 한다고 매출신장이 기대되는 국내 시장이 아니라는 점이다.

▲ 지난 12월 신세계 그룹이 인수한 중소편의점 '위드 미'(With Me). 신세계는 이마트 및 자사소비제품을 이곳을 통해 공급 판매할 예정이다. 특히 신세계는 롯데나 보광처럼 가맹점주로부터 로얄티를 받지 않는 것으로 방침을 정했다. (출처 신세계그룹)

신세계그룹의 편의점 진출, 불공정계약 해소차원에서 봐야

신세계는 지난 해 12월 중소편의점 '위드 미'를 인수, 본사와 가맹점주간의 불공정계약에 따른 폐단을 없애고자 로열티를 따로 받지 않기로 했다. 또한 본사는 물품 공급 사업만 추진키로 했다. 

이는 국내 편의점 시장의 양대산맥인 롯데그룹과 보광그룹이 가맹점주에게 강행한 불공정계약을 강요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것과는 상반된 이야기이다. 아울러 소비자에게는 편의점 제품 가격 하락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덧붙여 이케아와 신세계의 유통시장 진출을 반대하는 국내 매스컴과 악플 등은 업계 보호차원이 아니다. 이 또한 독점과 편법이 횡행하는 기존 대기업을 배경으로, 이슈 선점과 클릭뷰·판매부수 증가를 위한 편법에 불과하다. 

모바일에서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