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기자명 박선우기자
  • 사회
  • 입력 2011.06.09 13:11

금융당국 “뱅크런 막아라” 안간힘 <왜>

부실채권 만기 2년 연장 추진..추가 퇴출 리스크 최대로 줄여야

저축은행 비리사태로 시장 불안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시장 안정화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저축은행 시장불안은 작은 소문에도 ‘묻지마 뱅크런’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하반기 추가 구조조정을 앞두고 시장의 불안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금융당국의 고민은 깊어질 수 밖에 없다.

실제로 8일 프라임저축은행은 한 언론의 검찰수사 발표 보도로 인해 수백억원이 한꺼번에 인출되는 일이 빚어졌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이 내놓은 대책은 정부 지원규모 확충, 저축은행의 현금성 자산 확대 및 충당금 적립부담 완화 등이다. 특히 김석동 금융위원장까지 나서서 “상반기 중 추가 영업정지되는 저축은행은 없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시장의 반응은 시큰둥 하다.

일단 금융위원회는 8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매입한 5조2000억여원 규모의 저축은행 부실채권 만기를 3년에서 5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매각가격에서 담보가격을 뺀 만큼을 손실로 추정, 3년간 11차례에 걸쳐 충당금을 쌓아야 하는 것을 5년간 19차례에 걸쳐 쌓도록 해 해당 저축은행의 부담을 줄이기로 했다.

또한 지난 3월 국회에서는 예금보험기금과 정부 출연금으로 10조원 가량의 ‘저축은행 구조조정 특별계정’을 설치하는 예금자보호법 개정안이 통과됐다. 아울러 캠코는 3조5000억원가량의 구조조정 기금으로 저축은행의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채권을 매입하기로 한 바 있다.

특히 금융위는 “부실을 덮는 것 아니냐”는 비판에도 불구, 충격 최소화를 위해 국제회계기준(IFRS) 적용을 저축은행에 한해 앞으로 5년간 유예해주기로 했다.

금감원은 최근 97개 저축은행에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주문하기도 했다.

금융당국의 이러한 대책 마련에 저축은행들도 부실위험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대출신청자의 유동성이나 이자상환능력을 까다롭게 심사, 최근에는 대출이 거의 정체상태”라며 “대출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매일 체크하는 등 잠재적 부실을 막기 위해 자체적으로 신경 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부동산 PF대출에 대해서도 “시행사나 시공사를 1 대 1 수준으로 전담 마크하면서 공사 진행 상황이나 분양계약 체크 등을 들여다보고 있다”고 토로했다.

당국의 각종 대책은 하반기 저축은행의 추가 구조조정에 대비하는 차원이라는 것. 실제로 저축은행이 대출한 부동산 PF사업장 470여곳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가 이르면 내주 중 발표된다.

또 저축은행 6월 결산결과가 8월(잠정 실적)이면 공표되고, 2010년 회계연도 실적에 따라 추가 구조조정 대상 은행이 정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얼마나 리스크와 부담을 줄이느냐가 당국의 최우선 당면과제가 돼버린 것이다. 업계에서는 금융당국의 당근과 채찍을 울며 겨자먹기로 따르고 있는 가운데 예금자들의 불신감 확산을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모바일에서 기사보기